[태그:] 1주택자

  • 서울 1주택자 ‘종부세 터졌다’실거주자도 예외 없다

    서울 1주택자 ‘종부세 터졌다’실거주자도 예외 없다

    서울 잠실에 아파트 한 채만 가진 실거주자도, 이제는 ‘종합부동산세(종부세)’의 신경써야합니다.

    2025년 기준, 서울을 비롯한 일부 지역의 공시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1주택자 종부세 부담이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한 사례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집 한 채로 은퇴를 준비하던 중산층 실거주자들까지 과세 대상에 포함되면서 종부세에 대한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습니다.

    2025년 서울 공시가격 7.86%↑…세금 부담도 동반 상승

    2025년 서울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평균 7.86% 상승했습니다.
    공시가가 오르면 그에 따라 종부세 과세표준도 오르게 되죠.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를 보유한 실거주자의 경우,

    • 2022년 종부세: 약 70만 원
    • 2023년 종부세: 약 155만 원 → 1년 새 두 배 이상 증가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 보유자도 종부세가 162만 원에 달했으며,
    반포 아크로리버파크는 650만 원이 넘는 종부세를 납부해야 했습니다.

    실거주 1주택자도 피해갈 수 없는 ‘종부세 징벌적 과세’

    국세청에 따르면 2024년 1세대 1주택자의 종부세 결정세액은 1,149억 원으로
    2023년(912억 원)보다 약 26% 증가했습니다. 과세 대상자 수도 12만 8,913명으로 늘었고,
    1인당 평균 세액도 약 89만 원으로 올라 실질적인 세금 부담이 커졌습니다.

    정부는 2023년에

    • 종부세 공제금액: 11억 원 → 12억 원 상향
    • 세율: 0.63% → 0.52.7% 인하
      등 일부 완화 조치를 시행했지만, 공시가 인상 여파로 체감 효과는 거의 없었던 셈입니다.
    pexels-photo-32986208 서울 1주택자 '종부세 터졌다'실거주자도 예외 없다

    종부세는 재산세와 별개…”이중과세” 논란 계속돼

    1주택자들은 이미 재산세를 납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종부세까지 더해지면서
    “이중과세가 아니냐”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2024년 여당 전당대회에서

    “평생 벌어 집 한 채 마련한 이들에게 징벌적 과세를 하는 건 과도하다”
    며 종부세 완화 필요성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 종부세 폐지론
    • 실거주자에 대한 과세 제외
    • 종부세와 재산세 통합안
      등 다양한 개편 방안이 논의되고 있지만, 정부는 제도 변경에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종부세 실거주자 방법은?

    공시가격 확인

    • 출처: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 매년 4월 말 공시된 공동주택 공시가격 기준 확인 필요
    • 2025년 서울 평균 공시가격 상승률: 7.86% (기사 출처 기준)

    종부세 과세 대상 여부 판단

    • 기준: 공시가격 합산액 – 공제금액 12억 원 초과 시
    • 계산 예시:
      • 아파트 공시가격 13억 → 과세표준 1억
      • 종부세 부과 대상 (단독명의 1세대 1주택 기준)

    공시가격 이의신청

    • 시기: 공시가격 열람 기간(~4월 중순) 및 확정 후 이의신청(~5월 초)
    • 방법: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에서 온라인 이의신청 가능
    • 주의: 실제 시세보다 과도하게 높게 산정된 경우에 한함

    세부담 상한 확인

    • 세부담 상한선: 전년도 납부세액의 150% (공시가 9억 초과 시)
    • 고령자 및 장기보유자 공제 가능 (만 60세 이상 + 5년 이상 보유 시 최대 80%)
    • 출처: 국세청 홈택스 종합부동산세 안내

    세무 상담 활용

    • 무료 세무상담:
      • 국세청 전화상담 126
      • 대한세무사협회 소비자상담센터
      • 서울시 세금도우미센터
    • 종부세 절세전략 상담이 필요한 경우 유료 세무대리인 연계 가능

    📌 정리

    항목기준 (2025년)
    종부세 공제 기준공시가 12억 (1세대 1주택 단독명의 기준)
    과세표준 계산법공시가 – 공제금액 = 과세표준
    고령/장기보유 공제최대 80%까지 가능
    이의신청공시가 열람 기간 중 온라인 접수
    세부담 상한전년 대비 150% 초과 불가

    이제 1주택자라고 해서 안심할 수 없는 시대입니다.
    서울을 중심으로 한 공시가격 상승은 실거주자에게도 징벌적 세금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그 흐름은 2025년에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1주택자 양도세 면제 조건

  • 1주택자 양도세 면제 조건

    1주택자 양도세 면제 조건

    1주택자 양도세 면제, 조건만 맞추면 수천만 원의 세금을 아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건을 정확히 모르면 면제를 못 받거나,실거주 요건 실수로 수억 원을 더 낼 수도 있습니다.

    2025년 7월 기준으로 조정대상지역 지정 현황까지 포함해 양도세 비과세 조건 알아보겠습니다.

    양도세 면제가 가능한 경우: 기본 요건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1주택 양도세가 비과세 처리됩니다.

    항목요건
    주택 수1세대 1주택이어야 함 (일시적 2주택 예외 있음)
    보유 기간2년 이상 보유 (취득일 기준)
    거주 요건조정대상지역 내 주택은 2년 이상 실거주 필요
    양도가액12억 원 이하일 경우 전액 비과세 (2025년 기준)

    ※ 2021년 1월 1일부터 양도세 비과세 기준이 9억 → 12억으로 상향되었으며, 초과분은 과세됩니다.

    조정대상지역 여부에 따라 다른 거주 요건

    •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 보유 + 실거주 각각 2년 이상 필요
      거주요건 충족하지 않으면 비과세 불가
    • 비조정대상지역:
      → 실거주 요건 없음, 보유만 2년 이상이면 비과세 가능

    예시: 수도권 내 신축 아파트는 대부분 조정대상지역에 해당되므로, 실거주 요건 체크 필수

    2025년 7월 기준 조정대상지역 전체 리스트

    지역구체적 구역
    서울특별시 전역전 자치구 모두 조정대상지역 유지
    경기도과천, 성남(분당, 수정), 하남, 광명
    세종특별자치시전체
    ※ 그 외 광역시·지방 도시현재 모두 비조정지역 (해제 완료됨)

    비조정지역 예시:
    부산, 대구, 대전, 울산, 인천, 수원, 용인, 화성, 천안, 청주, 전주, 창원, 제주 등

    ※ 2023~2024년에 걸쳐 지방 대부분 해제됨, 서울·과천·분당 등만 유지 중

    일시적 2주택자의 예외 비과세 요건

    1주택자가 새로운 집을 사면서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되는 경우에도 아래 조건을 만족하면 기존주택 양도 시 비과세 혜택 유지가 가능합니다.

    조건 요약 (2025년 기준):

    • 새로운 주택을 1년 내에 취득해야 함
    • 기존 주택을 2년 내에 양도해야 함
    • 두 주택 모두 조정대상지역이면 1년 내에 양도해야 함
    pexels-photo-18341128 1주택자 양도세 면제 조건

    양도세 비과세 적용 시 주의할 점

    증여·상속받은 주택 보유기간 계산 주의
    → 상속은 ‘피상속인’ 기준으로 계산, 증여는 ‘취득일’ 기준

    분양권/입주권 보유 시 다주택 간주
    → 1주택자가 분양권만 추가로 보유해도 다주택자로 간주돼 비과세 탈락 가능

    중간에 세대분리한 경우
    → 세대분리된 자녀가 주택을 따로 보유하면 1세대1주택 조건 위반 될 수 있음

    12억 초과분은 과세 대상
    → 예: 양도가액 14억 → 12억까지만 비과세, 나머지 2억은 과세

    양도세 면제 계산 예시

    양도가액비과세 여부과세 금액과세 내용
    11억전액 비과세0원없음
    13억일부 과세1억양도세 부과
    15억일부 과세3억고가주택 과세 대상

    핵심 요약

    • 1주택자라도 실거주+보유요건+12억 이하 조건 모두 충족해야 비과세
    • 조정지역 여부, 일시적 2주택 여부 반드시 확인
    • 분양권·증여·세대분리는 비과세 탈락의 핵심 함정
    • 일부 과세 시 양도세 계산기/전문가 상담 꼭 권장

    부동산 세금, 언제 어디서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