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통합기획, 일명 ‘신통기획’은 서울시가 추진하는 도시·건축·환경·교통 계획 통합 심의 방식입니다.
기존 정비사업은 사업 초기단계에서 각각의 심의와 행정절차로 인해 수년이 소요되곤 했습니다. 그러나 신통기획은 이를 통합해 사업 속도를 2년 내외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서울시는 이 방식을 통해 노후·불량 주거지의 정비를 촉진하고, 정비구역 지정 이전 단계부터 공공이 함께 계획에 참여해 도시의 균형 발전과 주거 환경 개선을 이끌어내겠다는 방침입니다.
신통기획이란?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민 제안 방식 + 공공 검토 결합
- 도시·건축·교통·환경 계획 통합 심의
- 정비계획 수립 기간을 5년 → 2년 이내로 단축
- 토지거래허가·건축허가 제한 등 사전 투기방지 조치 병행
서울시는 2025년 6월 말, 제3차 신통기획 후보지 8개소를 새로 선정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지역들은 노후도가 높고, 기반시설이 부족한 저층 주거지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부는 과거 정비예정구역에서 해제된 이력도 있습니다.

신통기획 후보지
아래는 주요 신통기획 후보지 목록입니다.
지역명 (가칭) | 자치구 | 면적(㎡) | 특이사항 |
---|---|---|---|
신창동 29-1 | 용산구 | 16,024 | 기반시설 부족, 고밀 주거 |
구로동 466 | 구로구 | 63,871 | 차량기지 인근 저층 주택 |
개봉동 153-19 | 구로구 | 27,100 | 반지하 및 노후 주택 밀집 |
방학동 641 | 도봉구 | 72,282 | 고도지구 완화 대상지 |
신대방3 | 동작구 | 29,461 | 보라매공원 인근 저층지 |
흑석10 | 동작구 | 45,882 | 정비촉진지구 해제지 재선정 |
상도23 | 동작구 | 80,937 | 밀도 높고 기반시설 부족 |
삼선3 | 성북구 | 56,770 | 문화재구역 인접, 해제지역 |
※ 위 후보지들은 2025년 하반기부터 정비계획 수립에 들어갈 예정이며, 토지거래허가구역·건축허가제한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서울시 신속통합기획 자세히 보기 ▼ (아래 이미지 클릭)

신통기획 절차
신통기획은 기존 재개발·재건축 사업보다 간소화된 절차를 따릅니다.
서울시는 자치구와 협의해 정비가 시급한 지역 또는 주민 참여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추진합니다:
- 후보지 추천 (자치구장 → 서울시)
- 서울시 사전검토 및 선정위원회 심의
- 후보지 선정 공고 및 공공기획 착수
- 정비계획 수립(2년 내외)
- 정비구역 지정 및 사업시행인가 절차
- 조합 설립 및 착공
여기서 중요한 점은 권리산정 기준일이 후보지 추천일이라는 점입니다.
이 날짜 이후 취득한 부동산은 사업 관련 권리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투기방지를 위한 실질적 장치로 작용합니다.
신속통합기획은 노후 주거지를 빠르게 정비해 주거 환경을 개선하려는 서울시의 핵심 정책입니다.
이번 2025년 후보지 선정으로 인해 해당 지역의 정비사업은 가시화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추진 의지가 있는 주민들은 조합 설립, 건축 방향 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신통기획 후보지 인근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면, 정비계획 수립 일정과 권리산정 기준일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내 토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알고 싶다면? → 서울시 부동산정보조회 시스템 또는 자치구청에 문의가 필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